문제 상황:
- WSL2 사용
- C드라이브 프로젝트 폴더에서 파이썬 가상환경을 생성하고 pip를 이용하여 패키지를 설치하는데
속도가 현저히 느림
EX)
pip freeze
virtualenv venv --python=3.9.16
pip install
해결:
WSL2 루트 디렉토리 아래에서 home 폴더에서 작업하니 문제 없음 (/home)
mnt 폴더(윈도우 파일 시스템)가 아닌 wsl2 파일 시스템에서 작업하자!
참고💥
WSL 2가 아닌 WSL 1의 사용에 대한 예외
더 빠른 성능과 100% 시스템 호출 호환성을 제공하는 WSL 2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WSL 1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는 몇 가지 특정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WSL 1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프로젝트 파일을 Windows 파일 시스템에 저장해야 합니다. WSL 1을 사용하면 Windows에서 탑재된 파일에 더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WSL Linux 배포를 사용하여 Windows 파일 시스템의 프로젝트 파일에 액세스하고 이러한 파일을 Linux 파일 시스템에 저장할 수 없는 경우 WSL 1을 사용하여 OS 파일 시스템에서 더 빠른 성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수행하는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운영 체제 간에 작업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Linux 명령줄(Ubuntu, OpenSUSE 등)에서 작업하는 경우 가장 빠른 성능을 달성하려면 파일을 WSL 파일 시스템에 저장합니다. Windows 명령줄(PowerShell, 명령 프롬프트)에서 작업하는 경우 파일을 Windows 파일 시스템에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WSL 프로젝트 파일을 저장하는 경우 다음과 같습니다.
- Linux 파일 시스템 루트 디렉터리(\\wsl$\Ubuntu\home\<user name>\Project)를 사용합니다.
- Windows 파일 시스템 루트 디렉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mnt/c/Users/<user name>/Project$ 또는 C:\Users\<user name>\Project
WSL 명령줄의 파일 경로에 /mnt/가 보이면 현재 탑재된 드라이브에서 작업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Windows 파일 시스템 C:/ 드라이브(C:\Users\<user name>\Project)는 WSL 명령줄에 탑재될 때 /mnt/c/Users/<user name>/Project$와 같이 표시됩니다. 탑재된 드라이브에 프로젝트 파일을 저장할 수 있지만, \\wsl$ 드라이브에 직접 저장하면 성능 속도가 향상됩니다.
'WSL2'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2 localhost 접속이 안될때 - django runserver local (0) | 2022.04.29 |
---|---|
(WSL2,MYSQL)mkdir: cannot create directory ‘//.cache’ (0) | 2022.04.14 |
wsl2 (우분투) mysql 접속 에러 (0) | 202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