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기본 포트가 8000인 django를 wsl2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1. 관리자 모드로 파워쉘을 실행
2. 아래 명령어를 통해 로컬이 허용하는 포트 확인
netsh interface portproxy show v4tov4
이와같이 로컬에서 8000포트를 사용하고 있어.
wsl을 사용해 django 로컬 접속이 안되고 있었다.
3. 아래 명령어를 통해 리셋
netsh interface portproxy reset
WSL2 외부 remote ip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하기, 방화벽 해제
윈도우 하위 리눅스인 WSL2를 사용하면 리눅스 기반의 로컬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데 매우 편리한 것 같습니다. 서버 환경이 리눅스라면 윈도우에서도 동일한 환경 구축이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
webisfree.com
부족하고 틀린 정보일 수도 있습니다 ㅠㅠ
틀린 것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WSL2'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2에서 Python 가상환경내에서 속도 느림 현상 (0) | 2023.03.24 |
---|---|
(WSL2,MYSQL)mkdir: cannot create directory ‘//.cache’ (0) | 2022.04.14 |
wsl2 (우분투) mysql 접속 에러 (0) | 202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