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Django

Django 프로젝트 구조, MVT 디자인 패턴

django 디자인 패턴 - MVT django 프로젝트 구성요소 설정 파일(**settings.py**) Django 프로젝트의 설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 정적 파일 경로, 언어 설정 등을 포함 URLconf(urls.py) 사용자가 요청한 URL과 매칭되는 뷰를 결정하기 위한 URL 매핑 규칙을 정의 __init__.py 애플리케이션을 파이썬 패키지로 인식하도록 하는 역할 WSGI(Web Server Gateway Interface) 파일(wsgi.py): 웹 서버와 Django 어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연결을 돕는 인터페이스를 제공 ASGI(Asynchronous Server Gateway Interface) 파일(asgi.py) 비동기식 웹 서버와의 연결 관련 설정 앱(Appl..

WSL2

WSL2에서 Python 가상환경내에서 속도 느림 현상

문제 상황: - WSL2 사용 - C드라이브 프로젝트 폴더에서 파이썬 가상환경을 생성하고 pip를 이용하여 패키지를 설치하는데 속도가 현저히 느림 EX) pip freeze virtualenv venv --python=3.9.16 pip install 해결: WSL2 루트 디렉토리 아래에서 home 폴더에서 작업하니 문제 없음 (/home) mnt 폴더(윈도우 파일 시스템)가 아닌 wsl2 파일 시스템에서 작업하자! 참고💥 WSL 2가 아닌 WSL 1의 사용에 대한 예외 더 빠른 성능과 100% 시스템 호출 호환성을 제공하는 WSL 2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WSL 1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는 몇 가지 특정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WSL 1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Django

Django 프로젝트 생성

개발 환경 설정 가이드 1. 가상환경 설정 # 가상환경 생성 python -m venv 가상환경이름 보통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가상환경 이름을 venv로 정한다. venv 폴더가 생긴다. # 가상환경 활성화 source 가상환경이름/bin/activate 가상환경 이름을 venv로 정하면 어떤 프로젝트이던지 그 프로젝트 주소로 들어가 같은 명령어로 가상환경을 활성화 할 수 있다. # 가상환경 비활성화 deactivate 2. Django 설치 # 가장 최신 버전 django 설치 pip install django # 원하는 버전 django 설치 pip install django==버전명 보통 LTS 버전을 설치한다. Django 공식 홈페이지에서 LTS 버전을 알 수 있다. (장기 지원되는 버전 -> ..

카테고리 없음

WEB2 - Home server (생활코딩)

환경: 공유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웹서버를 구동하는 방법 Router(공유기) 공유기 WAN에 통신사 케이블을 꽂고 LAN에는 집에서 쓰이는 컴퓨터나 wifi로 핸드폰을 연결함. 이때 LAN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구들은 모두 사설IP를 부여받음. (공유기는 공인IP와 사설IP둘다 가지고 있음. 공유기의 사설IP는 Gateway address라고 함) WAN(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네트워크 주소 변환 우리가 노트북을 이용하여 어떤 사이트에 접속하면(클라이언트 입장) 노트북은 공유기의 사설IP로 요청을 보낸다.(사이트에 접속하고 싶다!) 그럼 공유기는 받은..

WSL2

Wsl2 localhost 접속이 안될때 - django runserver local

저는 기본 포트가 8000인 django를 wsl2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1. 관리자 모드로 파워쉘을 실행 2. 아래 명령어를 통해 로컬이 허용하는 포트 확인 netsh interface portproxy show v4tov4 이와같이 로컬에서 8000포트를 사용하고 있어. wsl을 사용해 django 로컬 접속이 안되고 있었다. 3. 아래 명령어를 통해 리셋 netsh interface portproxy reset 참고사이트: https://webisfree.com/2021-07-14/wsl2-%EC%99%B8%EB%B6%80-remote-ip-%EC%A0%91%EC%86%8D-%EA%B0%80%EB%8A%A5%ED%95%98%EB%8F%84%EB%A1%9D-%EC%84%A4%EC%A0%95%ED%9..

WSL2

(WSL2,MYSQL)mkdir: cannot create directory ‘//.cache’

wsl2 터미널에서 sudo /etc/init.d/mysql restart 입력시 오류: mkdir: cannot create directory ‘//.cache’: Permission denied -su: 19: /etc/profile.d/wsl-integration.sh: cannot create //.cache/wslu/integration: Directory nonexistent 해결방법: 터미널 입력 (1)sudo vim /etc/profile.d/wsl-integration.sh vim으로 들어가 (2) 맨 윗줄에 if [ "${HOME}" = "/" ]; then return fi 위 코드를 입력하고 저장!

아르마딜로99
개발 잘하고 싶다